분류 전체보기206 요즘 포스팅을 오래 못했습니다. 사랑니 발치 때문에 아주 고생을 했네요. 이번주부터는 포스팅을 다시 꾸준히 이어가도록하겠습니다! 잠깐 여담을 하자면 사랑니 포스팅~! 사랑니는 총 3개를 뽑았고(한꺼번에!, 수면마취), 서울대 치과병원에서 뽑았습니다. 이번에 뽑으면서 느낀 것이 정말 "우리나라 의료보험이 잘되어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총합 60만원이상이 들어간 사랑니 발치가 20만원으로 퉁치게되는 일이!! 실제 발치일에는 7만원도 안들었습니다. ㅎㅎ 그리고, 대학원생이여서 다행이라는 생각이 요번에 처음으로 들었네요..ㅎㅎㅎ 병원이랑 가까워서 몰래몰래 다녀오기도 했으니 ㅎㅎ 2020. 7. 5. [R] 쉽게 배우는 R programming 기초 (5) (그래프, plot, 기타 parameter) 오늘은 R에서 기본적인 것들 중에 plotting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하도록하겠습니다. R의 plot은 BI 혹은 분석하시는 분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될 기능입니다. R에서 plot기능이 없었다면, 이빨빠진 호랑이에 불가하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패키지들에서 이러한 plot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만큼 R에서 plot은 중요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정말 기본적인 plot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겠습니다. 생각보다 기본적인 plot이 다채롭게 사용될수도 있고, 항상 이야기하지만, 기본이 가장 중요합니다. 급하게 그래프를 그려야하는데, 원하는 그래프를 그리는 패키지는 내가 갖고있는 컴퓨터에서 잘 설치가 안되네? 이럴때를 대비해서 기본적인 plot에 대해 잘 알아둬야 할 것입니다. 연구나, 분석에 주로 사용되는 ggp.. 2020. 6. 30. [실험기본] primer 디자인 (제작) 오늘은 primer제작에 대해서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primer 디자인하는 것은 BI로서는 조금 생소 할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BI 대부분 컴돌이라서.. ?) 그래도 만약 소규모 렙이나 회사에 간다면 이런것 즈음 간단하게 알아 주면 괜찮겠죠? 프라이머 제작을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Sanger sequencing(생어 시퀀싱)을 하기 위한 프라이머 제작을 몇번 해보았습니다. (프라이머 제작은 아마 다 비슷하지 않을까요?) 일단 그전에 생어 시퀀싱을 하는 이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면 NGS, Genotype array 분석에서 분석자들이 찾은 변이가 그 위치에 실제 있는지 확인차 하는 것입니다. 프라이머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것이 당연히 확인 해야할(하고싶은) 시퀀스죠! 확인.. 2020. 6. 29. 꽤 오래 캐시 슬라이드 했는데,, 하면 할수록 별로인듯. 이득이 없음. 캐시에서 파는 물품들 대부분 너무 높게팜. 쇼핑하면서 포인트 준다는데,, 결론.. 캐시슬라이드 별로다. 점심시간에 시간짬내서 글씁니다... 이거라도해야지 사람들이 들어오기라도 하것지.. ㅎㅎㅎㅎ 2020. 6. 26. [R] 쉽게 배우는 R programming 기초 (4) (if문, for문, while문) 이번시간에는 저번이 이야기했들이 for문과 while 문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for,while문을 하면서 꼭 필요한것인 if문도 추가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이유중 하나고 엑셀말고 R을 이용하라고 하는 이유중 하나입니다. 1. if 문 if 문은 관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라면" 저는 참깨라면이 좋습니다. 공항에 비행기를 타고갈때, 게이트에서 승무원이 표검사를 하는 것을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if(조건문)이 맞다면 조건문 안에 있는 내용이 실행이 됩니다. > a=1 > if(a==1){ + print('d') + } [1] "d" > a=1 > if(a==1){ + print('d') + } [1] "d" > a=0 > if(a==1){ + print('d'.. 2020. 6. 25. [R] 쉽게 배우는 R programming 기초 (3) (list, array) 이번에는 list와 array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list list는 많이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입니다. 기본 사용법부터 보자면, 다음과 같이 list()를 이용하면 됩니다. 특정 벡터값들을 as.list()로 list로 변환시켜보면 다음과 같이 만들어지는데, 값들이 어디로 들어갔는지 모를수 있으니 문자로도 만들어 보겠습니다. 다음과 같이 벡터값들이 들어가는것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각 값들을 호출하기 위해서는 listname[호출할 순서]를 하게되면 호출할 순서의 리스트를 얻을수 있고, listname[[호출할 순서]]를 하게되면 호출할 순서의 값들이 나오게 됩니다. 다른 방식으로 list를 만들어 보면, 다음과 같이 리스트마다 이름을 지정할 수가 있고, 호출할때도 해당 이름을 이용해서 값들.. 2020. 6. 24. 이전 1 ··· 27 28 29 30 31 32 33 ···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