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06 소용없는 짓을 하는이유! 공부를 잘하시는 분이나, 혹은 외국에서 공부하시는 분들이 이러한 블로그를 볼때 들 수 있는 생각이 뭐하러 이런걸 만들지? 라는 생각이 드실겁니다. 석사 박사를 진행하면 당연히 영어는 기본이고, 저런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할수있는거 아닌가? 라고요. 저는 조금 생각이 다름니다. 저도 당연히 석사나 박사를 들어오면 영어는 물론이고, 여러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하는 건 기본중의 기본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러나 석사 박사를 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내가 한 일들을 공유하고 사람들이 이것을 참고삼아 쉽게 습득하고 다른 더 중요할 수 있는 논문이라던지 지식들을 습득하면 더 이득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어권에서 학위를 따시는 분이라면 이러한 지식습득은 문제가 없을 것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석사 박사를 하시는분들의 .. 2020. 6. 17. [R] 쉽게 배우는 R programming 기초 library('package name') 이번에는 R에 대해서 간단하게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R설치는 당연히 알아서 하셔야하구요. ※ R설치시 주의점은 계정이름이 한글일 경우 오류가 날 수 있으니 주의해주세요. 인공지능 시대가 오면서 기본적으로 프로그래밍 하나정도는 익혀야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최근 핫한 프로그래밍으로는 python, R인데, 그중에서도 아직까지는 R이 더 유용합니다. (Bioinformatics적으로요) 왜냐하면 통계적인 측면에 특화되어있는 프로그래밍중 하나이기 때문이죠. matlab, 줄리아와 같은 통계나 계산에 특화된 프로그래밍이 있음에도 R이 중요한 이유는 package때문이죠. package는 어떤 특수 일에 대해서 특화된 기능들을 넣어놓는 하나의 확장팩정도로 생각하시면 됩니.. 2020. 6. 17. [기본개념] 분석시 참고 자료 유전체 분석시 참고자료를 찾아서 올립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도 이런자료가 있네요~! www.google.com/url?sa=t&rct=j&q=&esrc=s&source=web&cd=&ved=2ahUKEwiuhuzd84XqAhVVHaYKHUyRCakQFjACegQIBRAB&url=https%3A%2F%2Fwww.khidi.or.kr%2FfileDownload%3FtitleId%3D352163%26fileId%3D1%26fileDownType%3DC%26paramMenuId%3DMENU01872&usg=AOvVaw0Uo0dRzuprkiHwxrJHbqjL https://www.google.com/url?sa=t&rct=j&q=&esrc=s&source=web&cd=&ved=2ahUKEwiuhuzd84XqAh.. 2020. 6. 17. 대학원 생활을 하면서 느낀 것들 1. 생각보다 교수들은 나의 일에 관심이 없다. (당연하다, 그리고 여기 분야(의료관련)는 더 그런듯..) 2. 역시나 성공하려면 학연, 지연, 혈연이 가장 중요하다.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3. 불평할 시간에 논문 한 글자라도 보는 것이 좋다. (어찌 나가더라도 제구실을 해야지!!) 4. 젊은 교수를 따라 가면 고생이다. (안정된 교수직을 얻을때까지 유랑생활) 5. 자기 일을 지키지 않으면, 연구실내에서 소외된다. (열심히 니일이나 해야한다.) 6. 의욕충분하기보다 선택과 집중이 가장 중요하다. ( 이것저것하기보단 집중해서 하나를 하는것이 낫다.) 7. 남들이 하는데 내가 못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말고, 내가 할수있는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껴야 한다. (난 자부심을 느끼려고 노력중이다.) 8. 실험을 .. 2020. 6. 15. [실험기본] DNA 분리방법 Bioinformatics를 주로 하다보면 실험적인 개념이 모자랄 때가 있다.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DNA 분리시에 알아둬야할 개념들을 정리하였다. 조직, 모근 구강 상피세포, 배양된 세포 및 혈액 등으로 부터 Genomic DNA분리 가능함. 많은 양의 유전체 시료가 필요할 때는 사람의 경우 B세포를 Epstein -Barr virus (EBV)로 감염시켜서 불멸화(Immortalized) 를 유도한다. 그리고 Lymphoblastoid cell line (LCLs)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불멸화유도과정 혹은 배양과정에서 새로운변이가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 EBV의 경우 lymphoma, carcinoma와도 연관이 있음. 헤르페스 바이러스라고 생각하면됨.(1) 최근.. 2020. 6. 15. Bioinformatics가 알아둬야 할 것 내가 석사, 박사 과정을 하면서 느낀거지만.. Bioinformatics 를 하면서 느낀 것은 실험에 대해서도 어느정도 알아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NGS에 대해 주어진 데이터에 대해서 분석을 하기 보다도 NGS를 분석하면서 실험의 단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분석법을 생각해보는 것도 좋고, 혹은 단점을 생각하면서 정확한 결과를 얻는 방법을 생각해보는 것이 Bioinformatics에서의 연구자로서의 마음가짐이라고 생각이든다. 그래서 블로그에도 내가 공부하고 있는 기본적인 실험 지식도 올리고자 한다. 정말...잡탕 블로그네.. 2020. 6. 15.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