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06

[pytorch] tensor를 이해해보자! tensor라 함은 3차원 이상의 데이터를 이야기합니다. 0차원은 scaler, 1차원은 vector, 2차원은 matrix (행렬) 이라고 하죠. 우리가 딥러닝을 배우면서 많이 다루게될 데이터는 2차원 이상의 데이터입니다. 그렇다면 2차원 이상의 데이터를 어떻게 생각해야할까요?! 아래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위 사람사진에 대해서 얻을수 있는 데이터를 상상해 봅시다. 유전자에 대해서 알수가 있을 것 같고, 뼈사진을 통해 건강한 뼈를 가진 사람인지도 알 수가 있을것같구요. 그리고 키도 알 수가 있겠죠. (정확한 수치는 사진에 나오지 않았지만 알수있다고 가정해봅시다.) 한 사람에서 나오는 데이터의 양을 유전자, 뼈상태, 키 이렇게 대략 알 수가 있을 것입니다. 여기서 유전자, 뼈상태, 키 각각.. 2021. 8. 5.
[pytorch] tensor 나누는 방법들 (split, chunks, 데이터 나누기) tensor는 데이터를 이야기합니다. 2차원을 2 Tensor 3차원을 3 Tensor라고 이야기 하죠. 딥러닝을 돌리다 보면 이러한 tensor를 나눠서 돌려야할 때가 있습니다. batch size를 조절하거나 혹은 test set, validation set, train set을 나눌때도 이러한 데이터를 나눠야 합니다. 그럴때 사용할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split, chunks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으면 조금 헷갈릴수가 있는 기능입니다. split의 경우 데이터당 최대 자료가 n개를 가지게 하는 방법이고, chunks의 경우 데이터를 n개로 나누는 거죠. chunk와 split의 위의 설명으로는 헷갈릴수가 있으니 예시를 보여주도록 하겠습니다. 같은 17줄을 split와 chunk로.. 2021. 8. 3.
[python] 방향키로 이전 스크립트가 안보일때 회사나 워크샵 등과 같은 다양한 서버를 사용하게 될때 세팅이 나와 맞지 않아 불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저도 마찬가지로 불편함을 겪었던 일이 있었는데, 바로 방향키로 이전에 쳤던 명령어가 나올줄 알았는데, 실제로 [[A , [[D 와 같은 이상한 문자들이 출력되는 상황이 벌어지는 일입니다. 이럴경우 두가지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합니다. readline module을 pip 을 이용해서 설치를 합니다. pip install readline 이러는 데에도 에러가 발생이 될수가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free(): invalid pointer Aborted (core dumped) 이러는 경우는 readline을 제거 해주면 문제가 해결이 되고, readline대신에 gnurealine을 설치를 하면됩니다. p.. 2021. 7. 26.
주식 현황 및 앞으로 계획 추후에 변경시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절대 따라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참고용으로 생각해주세요. 미국주식 평단 보유수량 추매 현재가 애플 123.8 7 141.95 CRISPR테라퓨틱스 138.6 8 124.55 마이크로소프트 203.3 1 276.73 팔란티어 24.5 28 추매예정 21.12 프로테라 18.9 63 추매예정 11.17 QSI 11.6 4 추매예정 10.94 SFTW 9.9 10 9.96 소파이 19.1 10 추매예정 15.2 TSLA 478 1 627.33 VACQ 10.56 10 추매예정 10.36 한국주식 평단 보유수량 추매 현재가 삼성전자 54800 40 추매예정 79000 에코프로비엠 124360 10 289700 천보 153220 5 241900 카이노스메드 3744 136 3.. 2021. 7. 19.
[면역항암제] HLA 명명법 HLA 명명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소개하고자 합니다. (뭐 영어 사이트 해석이라고 생각하시면될 것 같네요) HLA gene family는 chr6번에서 주로 위치해있습니다. HLA란? 면역반응과정에 필요한 것 중에 하나로 항원과 만나서 pMHC로 되면서 면역반응을 촉진시킨다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 pMHC? : peptide-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의 약자입니다. HLA-A,B,C의 경우 class I이고 DR, DQ, DP의 경우 class II 라고 아시면 됩니다. 이렇게 class를 두개로 나눈 이유도 각 class마다 작용되는 것도 다릅니다. (추후 정리하겠습니다.) 간단하게 설명을 하면 class I은 T-Cell, class II의 경우 APC (.. 2021. 7. 13.
[jupyter] 두개의 버전의 python 사용하기 jupyter-lab이나, jupyter-notebook은 둘다 R에서 Rstudio같이 많이 사용하는 tool중 하나입니다. jupyter에서 두가지 버전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기본적인 설정도 같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1. 기본적인 간단한 세팅! jupyter-lab이나 notebook의 경우 대부분 서버를 통해 이용하고자 합니다. 혹은 개인 컴퓨터에서도요. 그럴때 세팅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jupyter-lab이나 notebook을 사용하게되면 background에서 돌려지게끔 해야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screen이라는 리눅스 기능을 이용할 것입니다. - background에서 돌리지 않으면, jupyter를 돌리다가 창을 끄거나 서버연결을 종료 .. 2021. 7. 12.